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30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306개 세 글자:699개 네 글자:1,026개 다섯 글자:625개 여섯 글자 이상:967개 모든 글자:3,624개

  • : (1)중국 남북조 시대 송나라 문제(文帝) 때의 연호(424~453). (2)자기에게 원한을 품은 사람. (3)신라 효성왕 때 신충(信忠)이 지은 향가. 옛정을 저버린 임금을 원망하는 내용으로,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4)본디의 노래. (5)상품의 제조, 판매, 배급 따위에 든 재화와 용역을 단위에 따라 계산한 가격. (6)물건을 사들였을 때의 값. 운임, 수수료 따위를 더하지 않은 값이다. (7)‘원래’의 방언 (8)‘원래’의 방언 (9)중국 후한 환제 때의 연호(151~153). 환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 : (1)둥글게 깎은 재목의 모서리. (2)부처의 원만한 깨달음. (3)중국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인 ‘선무제’의 본명.
  • : (1)‘워낙’의 방언 (2)두 마리가 끄는 마차에서 기본이 되어 힘을 더 쓰는 말을 세우는 자리. (3)여러 차례 간행된 간행물의 최초 간행. (4)‘워낙’의 옛말.
  • : (1)유치원에서, 원장이 없을 때 원장을 대리하는 직책. 또는 그 사람. 전반적인 원무를 맡아본다. (2)한 사람의 사고, 말, 행동 따위가 멀리 있는 다른 사람에게 전이되는 심령 현상.
  • : (1)‘원래’의 방언 (2)‘원래’의 방언
  • : (1)중국 전한 선제 때의 연호(B.C.65~B.C.62). 선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2)중국 서진 혜제 때의 연호(291~299). 혜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 : (1)사원(寺院) 따위의 큰 건축물. (2)위턱의 전두 단면에서, 구개궁의 길이가 가장 긴 부분.
  • : (1)먼 데서 온 손님.
  • : (1)모양이 둥근 기계톱. 강철판의 둘레에 있는 톱니가 돌아가며 나무를 자르거나 썬다.
  • : (1)원래의 격식. (2)제대로 어울리는 격식. (3)멀리 떨어져 있음. (4)의미격의 한 종류로, 어떤 것이 행동하거나 움직일 때 그 시작이 되는 장소임을 나타내는 격. 예를 들어 ‘철수가 중국에서 왔다’에서 ‘중국’이 원격에 해당한다.
  • : (1)조세를 매기기 위하여 계산하여 놓은 원래의 토지 면적. (2)중국 당나라의 시인ㆍ문학자(723~772). 자는 차산(次山). 인격이 고결하고 민중의 고통에 깊은 관심을 보여 백거이(白居易) 등 후세의 사회 시인에게 영향을 주었다. 저서로 ≪원차산집≫ 따위가 있다. (3)달 따위가 차거나 이지러지는 일.
  • : (1)‘원지름’의 전 용어. (2)규모가 작은 농지에서 괭이 따위의 작은 농기구와 인력(人力)으로 하는 집약적 농업. (3)둥근 거울. (4)‘만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6)사진이나 그림에서 먼 곳에 있는 것으로 찍히거나 그려진 대상. (7)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국경. (8)작은 글자나 물체를 또렷하게 보이도록 볼록 렌즈로 만든 안경. 흔히 노인들이 쓴다.
  • : (1)죄 없이 잡혀 갇힘. 또는 그런 사람. (2)조선 시대에, 사역원에서 임금에게 올리던 공문서. (3)어떤 일을 하기 위한 연줄이나 고삐. (4)먼 앞날을 위한 계획.
  • : (1)보합산에서, ‘원금’을 이르는 말. (2)원망하고 고민함. 또는 그런 마음. (3)법원에 민사 소송을 제기한 사람. (4)인쇄하거나 발표하기 위하여 쓴 글이나 그림 따위. (5)초벌로 쓴 글. (6)아주 먼 옛날.
  • : (1)‘북곡’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원나라 때 희곡이 성하여 이렇게 이른 데서 유래한다. (2)사환곡제에 따라 농가에 꾸어 주던 곡식. (3)작곡가가 처음 작곡한 곡에서 다른 형식으로 바꾸지 아니한 본래의 곡.
  • : (1)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
  • : (1)으뜸 되는 큰 공. (2)세공(歲貢)으로 보통 바치는 일정한 공물. (3)‘원숭이’를 의인화하여 높여 이르는 말.
  • : (1)원녀(怨女)와 광부(曠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독신의 신세를 슬퍼하고 원망하는 일. 또는 그런 원망. (3)주가 되는 광산. (4)아직 제련하지 아니한, 파낸 그대로의 광석. (5)둥글게 빛나는 빛. (6)불보살의 몸 뒤로부터 내비치는 빛. (7)원불교에서, 진리의 광명. 곧 시방(十方) 삼세(三世)에 두루 비치는 일원(一圓)의 광명을 이른다. (8)1949년 7월에 창간된 원불교 교단의 기관지. (9)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555~638). 속성은 박(朴). 중국 수나라에 유학한 후, 대승 경전(大乘經典)을 강의하였고, 화랑도의 중심 이념인 ‘세속 오계’를 지었다. 저서로 ≪여래장경사기(如來藏經私記)≫ 따위가 있다. (10)먼 곳에서 바라보는 경치. (11)멀리 보이는 빛. (12)멀리서 언뜻 보이는 정도나 모양. (13)중국 전한 무제 때의 연호(B.C.134~B.C.129). 무제의 두 번째 연호이며, 혜성 출현이 계기가 되어 이 연호로 개정하였다. (14)중국 금나라 선종 때의 연호(1222~1223).
  • : (1)화법 사교의 하나. 원만하고 완전한 교법을 이른다. (2)‘이광사’의 호. (3)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
  • : (1)새끼로 망태처럼 엮어 만든 농구(農具). 가마니 두 짝을 각각 양편에 망태처럼 얽은 것과, 밑이 없이 대어 밑부분을 졸라맬 수 있게 된 것이 있는데 이것을 소의 길마 위에 양쪽으로 나란히 걸쳐 얹고 거름이나 섶나무 따위를 나르는 데 쓴다. ⇒규범 표기는 ‘옹구’이다. (2)베어 낸 통나무의 아래쪽 굵은 부분. (3)원한이 맺힐 정도로 자기에게 해를 끼친 사람이나 집단. (4)원망하고 꾸짖음. (5)두 사람 사이를 가로막는 원한의 도랑. (6)원한으로 말미암아 생긴 불화. (7)동물의 발생 초기에 장차 소화 기관이 될 원장과 통하는 구멍. 입이 되기도 하나, 대부분의 동물에서는 항문이 되거나 일단 막혔다가 다시 그 자리에 항문이 생기거나 한다. (8)도와 구해 줌. (9)둥근 공이나 알. (10)근원을 철저히 찾아 밝힘. (11)천자(天子)가 동지(冬至)에 천제(天祭)를 지내던 곳.
  • : (1)먼 나라.
  • : (1)도교에서, 도를 깨쳐 신선이 된 여자를 이르는 말. (2)고려 시대에, 왕의 종친(宗親)에게 주던 정일품의 봉작(封爵). (3)전투에서 자기편을 도와주는 군대.
  • : (1)‘원굴하다’의 어근.
  • : (1)어떤 권리의 침범에 의하여 생긴 원상 회복이나 손해 배상 청구권에 대해서, 그 침범을 당해 해를 입은 본디의 권리.
  • : (1)원통하게 죽어 한을 품고 있는 귀신.
  • : (1)학원, 서원, 병원 따위에서 정한 내부 규칙.
  • : (1)조선 선조 때의 무신(1540~1597). 자는 평중(平仲). 임진왜란 때 경상 우수사로, 왜군이 침입했을 때에 이순신의 도움으로 승리하였으나 이순신이 삼도 수군통제사가 된 것에 불복하여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좌천되었다. 정유재란 때 적의 유인 전술에 말려들어 칠천도(漆川島)에서 부대가 전멸되고 자신도 전사하였다. (2)병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균.
  • : (1)본디의 근본. (2)멀고 가까움. (3)먼 곳과 가까운 곳. 또는 그곳의 사람.
  • : (1)인터넷에서, 처음으로 쓰인 본래의 글. 펌 글이나 댓글에 대비되는 글을 이른다.
  • : (1)‘본전’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2)‘꿩’을 달리 이르는 말.
  • : (1)유럽의 여러 언어에서, 형용사ㆍ부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교급, 최상급에 대하여 비교의 뜻을 나타내지 아니하는, 기준이 되는 급. (2)사원에 해당하는 직급. 또는 그 직급에 해당하는 사람.
  • : (1)마음과 몸의 활동력. (2)본디 타고난 기운. (3)만물이 자라는 데 근본이 되는 정기. (4)원망하고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 (5)관가에 있던 기생의 명부에 이름이 있는 기생. (6)본디의 기생. (7)구조의 기원이 같은 배세포의 원시 세포나 첫 축적물. 개체 발육 도중에서 장래에 어떤 기관이 될 것이 예정되어 있으나 아직 형태적, 기능적으로는 미분화 상태에 있다. (8)측정의 기준으로서 도량형의 표준이 되는 기구. 미터 원기와 kg 원기가 있는데, 프랑스의 만국 미터법 동맹 도량형국에 보관되어 있고 부원기가 각 나라마다 있다. (9)같은 종류의 물건의 표준으로 만든 그릇. (10)조선 시대에, 무예 이십사반 가운데 마군(馬軍)이 달리는 말 위에서 부리던 여러 가지 무예. 총 쏘기, 옆에 매달리기, 엎디어 달리기, 거꾸로 서서 달리기, 자빠져서 달리기, 가로누워서 달리기, 옆에 거꾸로 매달려서 달리기, 쌍마(雙馬) 타고 서서 총 쏘기 따위가 있었다.
  • : (1)본래의 길.
  • : (1)바라는 데까지.
  • : (1)예전에, 재물을 스스로 원하여 바침.
  • : (1)정원(定員)의 안. 또는 일정한 수의 안. (2)고아원, 병원, 연구원 따위와 같이 ‘-원’ 자가 붙은 기관이나 국회의 내부. (3)동그라미의 안. (4)정원(庭園)의 안. (5)동물원, 식물원, 유치원 따위와 같이 ‘-원’ 자가 붙은 곳의 안.
  • : (1)원망(怨望)을 품은 여자라는 뜻으로, 남편이 없어 슬퍼하는 여자를 이르는 말. 남편이 없는 여자에는 과부 또는 혼인할 나이가 지났어도 시집을 못 간 여자, 독수공방하는 여자 등이 해당한다.
  • : (1)임금이 즉위한 해. 또는 임금이 즉위한 이듬해. (2)나라를 세운 해. (3)연호(年號)를 정한 첫해. (4)어떤 일이 처음 시작되는 해.
  • : (1)원한을 품은 생각이나 마음. (2)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의 신상을 생각하거나 걱정함. (3)먼 앞일까지 미리 잘 헤아려 생각함.
  • : (1)원두를 부치거나 놓는 사람.
  • : (1)배(胚)에서 볼 수 있는 원시적 앞뇌. 후에 앞뇌와 중간뇌가 된다.
  • : (1)형성 과정에서 콩팥의 사구체로부터 바로 여과된 상태의 소변. 나중에 세뇨관을 통과하면서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소변이 된다.
  • : (1)‘주아’의 북한어.
  • : (1)고을의 원을 높여 이르던 말.
  • : (1)‘-외다’의 방언
  • : (1)설날 아침. (2)모든 의류의 원료가 되는 천. (3)고려 시대부터 하늘과 땅에 제사를 드리기 위하여 쌓은 단.
  • : (1)윤달이 든 해의, 윤달이 아닌 보통 달을 이르는 말.
  • : (1)중국 후한 때의 장수(?~205). 자는 현사(顯思). 원소(袁紹)의 장남이며, 원소 사후 원상(袁尙)과의 불화로 원씨 가문의 몰락을 초래하였다.
  • : (1)원래의 논.
  • : (1)설탕의 원료가 되는, 정제하지 아니한 설탕. (2)조선 시대에, 원두표(元斗杓)를 중심으로 한 당파.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西人)에서 갈라져 나와 김자점을 중심으로 한 낙당(洛黨)과 심하게 대립하였다. (3)소원을 빌기 위하여 세운 집. (4)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던 법당. 궁중에 둔 것은 내불당 또는 내원당이라 하였다.
  • : (1)나무의 원래 줄기. 나무의 중심축을 이루며 원가지를 키운다. (2)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함. (3)파견이나 지원을 나온 부대나 병력이 본래 소속되어 있는 부대. (4)원뿔을 그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꼭짓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5)‘원대하다’의 어근. (6)먼 조상의 대(代). (7)시간상으로 먼 시대. (8)원나라 시대.
  • : (1)디지털 신호에서 긴 시간에 걸쳐 저주파 잡음에 의해 일어나는 진폭이나 위상이 이상적 위치에서 변화하는 현상.
  • : (1)어느 특정한 문화에서, 여러 가지 덕 가운데 가장 근원이 되고 으뜸으로 여겨지는 덕. 플라톤은 지혜ㆍ용기ㆍ절제ㆍ정의의 네 덕을 들었고, 기독교에서는 믿음ㆍ소망ㆍ사랑의 세 덕을 내세웠다. 동양에서는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의 네 덕을 중요시하였다. (2)중국 서하 숭종 때의 연호(1120~1126).
  • : (1)중국 산둥성(山東省) 동부에 있는 도시. 웨이하이(威海), 옌타이(煙臺), 칭다오(靑島) 따위로 통하는 교통 중심지로 정치ㆍ경제의 중요 도시이다.
  • : (1)중국 당나라 때의 문학자 한유(韓愈)가 지은 문장. 도의(道義)의 본원을 논한 것으로, 도(道)가 도가나 불교의 도에 의하여 어지럽혀져 있다고 비난하고 본래의 도는 인의(仁義)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에 있음을 뚜렷이 하고자 한 논문이다. (2)모사 또는 복제 따위의 바탕이 되는 그림. (3)‘원기둥’의 전 용어. (4)높은 벼슬에 오름. (5)멀리 다다름. (6)학문이나 재주가 높은 경지에 오름. (7)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 (8)멀리 달아남. (9)대종교에서, 자기의 소원을 비는 기도. (10)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이론적 전제를 이루는 부분. 총론의 제1장을 이루는 <원도>에는 세계를 바라보는 유협의 시각과 문학관이 잘 나타나 있다. ‘원도(原道)’는 문학의 근원이 도에 있음을 뜻하는데 유협에 따르면 자연계는 ‘도의 미적 표현(道之文)’이며, 이때의 ‘도(道)’는 유가ㆍ불가ㆍ도가 사상의 영향을 받은 개념이다.
  • : (1)원망이 극에 달하여 마음에 생긴 독기.
  • : (1)모든 것을 빠짐 없이 원만하게 갖추어 곧바로 깨달음에 이름. 종파마다 구극(究極)으로 하는 가르침이나 수행을 이른다. 예컨대 천태종에서는 원돈지관(圓頓止觀)이라 하고, 진종에서는 본원원돈일승(本願圓頓一乘)이라 한다.
  • : (1)움직임을 일으키는 근본. (2)유럽에서 아시아 대륙의 동부와 그 주변의 섬들을 이르는 말.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 : (1)가공하기 전의 커피의 열매. 또는 커피콩을 말려서 볶은 것. 원두커피의 원료이다. (2)들판의 언저리. (3)밭에 심어 기르는 오이, 참외, 수박, 호박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4)선종에서, 채원을 관리하는 소임. (5)둥근 머리. (6)‘완두’의 옛말. (7)잎의 끝부분이 원형인 모양.
  • : (1)‘둑’의 방언
  • : (1)‘줄기’의 방언
  • : (1)바코드를 읽는 데 쓰이는 펜 모양의 광학 판독기.
  • : (1)원래의 등급이나 등수. (2)‘줄기’의 방언
  • : (1)‘완두’의 방언
  • : (1)본디 가지고 있는 뜻.
  • : (1)울 안에 본채와 따로 떨어져 있는 정원이나 부속 건물. (2)굉장히 큰 집.
  • : (1)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2)처음부터 또는 근본부터. (3)먼 곳에서 옴.
  • : (1)먼 나라를 칠 계략. (2)원대한 계책. 또는 그런 계책을 세움.
  • : (1)‘황태자’나 ‘왕세자’를 달리 이르는 말. (2)아주 선량한 사람. (3)큰 선덕(善德). (4)원래의 분량. (5)편지에서, ‘용서’의 뜻으로 쓰는 말.
  • : (1)먼 앞일까지 미리 잘 헤아려 생각함. (2)멀리 떨어져서 근심하거나 걱정함. 또는 그런 근심이나 걱정. (3)동료 벼슬아치. (4)부부로서의 짝.
  • : (1)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기운. (2)물의 흐름 따위에 의하여 둥글게 깎인 지름 2mm 이상의 조약돌. (3)부처에게 빌어 원하는 바를 이루려는 마음의 힘. 정토교에서는 아미타불의 구제력(救濟力)을 이른다.
  • : (1)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의 혼령.
  • : (1)조선 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하인. (2)전례(前例)를 끌어다 댐.
  • : (1)한 가지 일에 오래 종사하여 경험과 공로가 많은 사람. (2)예전에, 나이나 벼슬, 덕망이 높은 벼슬아치를 이르던 말. (3)둥근 머리. (4)머리털을 박박 깎은 머리. (5)먼 길.
  • : (1)근본이 되는 이론. 또는 그런 이론을 기술한 책.
  • : (1)‘평롱’을 달리 이르는 말. 가곡에서 농(弄)의 원형이라는 뜻으로 이렇게 이른다.
  • : (1)멀리서 울리는 우레.
  • : (1)본디 받고 있던 녹봉. (2)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재료. (3)중간 제품이나 원료 의약품의 생산에 투입되는 출발 물품, 시약, 용매를 이르는 말.
  • : (1)원통하여 흘리는 눈물.
  • : (1)방 하나로 침실, 거실, 부엌, 식당을 겸하도록 설계한 주거 형태.
  • : (1)강이나 내의 본줄기. (2)사물이나 현상의 본래 바탕. (3)주가 되는 유파(流派). (4)먼 곳으로 귀양을 보냄. (5)촌수가 먼 친척 관계. 또는 그런 사람. (6)예전에, 전임(轉任)되어 가는 관리의 유임(留任)을 그 지방 사람들이 상부에 청원하던 일.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영조와 계비 정순 왕후의 능. 동구릉(東九陵)의 하나이다. (2)왕이나 왕비의 무덤인 능(陵)과 왕세자나 왕세자빈 같은 왕족의 무덤인 원(園)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원금과 이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 (3)행위의 규범. (4)기초가 되는 근거 또는 보편적 진리. 존재의 근거가 되는 실재 원리, 인식의 근거가 되는 인식 원리, 행위의 규범이 되는 실천적 원리 따위가 있다. (5)원(院)에 속한 구실아치.
  • : (1)물고기 비늘의 하나. 모양이 둥글고 나이테가 있으며 붕어, 잉어 따위의 경골어류에 있다.
  • : (1)사람의 손이 가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삼림. (2)집터에 딸린 숲. (3)정원이나 공원의 숲.
  • : (1)‘원만하다’의 어근. (2)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미개지. 또는 그런 지역의 미개인.
  • : (1)두 마리가 끄는 마차에서 기본이 되어 힘을 더 쓰는 말. (2)변하기 전의 본디의 말.
  • : (1)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함. (2)멀리 바라봄. (3)먼 앞날의 희망. (4)원하고 바람. 또는 그런 것. (5)정신 분석학에서, 마음속의 긴장을 해소하려 함. 또는 그런 경향. (6)‘원만’의 방언
  • : (1)중국 청나라의 시인(1716~1797). 자는 자재(子才). 호는 간재(簡齋)ㆍ수원(隨園). 성령설(性靈說)을 제창하였으며, 변문(騈文)에도 뛰어났다. 저서에 시문집 ≪소창산방시집≫, ≪수원시화≫ 따위가 있다.
  • : (1)밀가루의 원료가 되는, 아직 빻지 아니한 밀.
  • : (1)먼 지방에서 떠돌아다니는 백성.
  • : (1)화장을 하였거나 변모한 얼굴이 아닌 본디의 얼굴 모습. (2)감추어 두었거나 위장하였던 것에서 벗어난 본디의 모습. (3)본디의 면. (4)면방적의 원료가 되는, 아직 가공하지 아니한 솜.
  • : (1)고치기 전의 이름. (2)본디 타고난 목숨. (3)세상에 널리 알려진 이름.
  • : (1)한편으로 원망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모함. (2)모직물의 원료가 되는, 아직 가공하지 않은 짐승의 털. 주로 양털을 이른다. (3)원대한 계책. 또는 그런 계책을 세움.
  • : (1)양주 별산대놀이에 나오는 네 명의 먹중 가운데 첫 번째 먹중. (2)베어 낸 그대로 아직 가공하지 아니한 나무. (3)껍질만 벗긴 통나무.
  • : (1)꿈의 좋고 나쁨을 풀어서 판단함.
  • : (1)본디의 종묘(宗廟). (2)본디의 정묘(正廟) 외에 거듭 지은 종묘. 중국 한(漢)나라 혜제(惠帝) 때 숙손통(叔孫通)의 건의로 처음 세웠다고 한다. (3)삼제(三諦)가 원융(圓融)하여 불가사의함. 또는 그런 일. (4)참된 마음이 두루 이르고 원만하여 막힘이 없음.
  • : (1)여러 사람이 춤을 출 때 주동이 되어 추는 춤. 또는 그런 춤을 추는 사람. (2)유치원 따위와 같이 ‘-원’ 자가 붙은 곳의 업무. (3)3박자의 경쾌한 춤곡. 또는 그에 맞추어 남녀가 한 쌍이 되어 원을 그리며 추는 춤. (4)여럿이 둥그렇게 둘러서서 추거나 돌면서 추는 춤.
  • : (1)베끼거나 번역하거나 퇴고한 글에 대한 본래의 글. (2)원래 문장을 주석(註釋), 강의(講義) 따위와 상대하여 이르는 말. (3)관아의 문. (4)멀리까지 소리가 들림. (5)멀리까지 퍼지는 소문. (6)군영(軍營)이나 영문(營門)을 이르던 말. (7)군영의 경내(境內). (8)원하는 바를 적어 놓은 글. 또는 그런 문서. (9)사찰이나 탑을 세우거나 불경을 간행할 때, 불상을 조성할 때 또는 법회를 행할 때 시주의 원의(願意)를 적어 놓는 글.
  • : (1)어떤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근원이 되는 물건. 우유에 대하여 젖소, 과일에 대하여 과실나무 따위이다. (2)사진이나 그림 따위에서 바탕이 된 실제의 물건. (3)무엇을 할 때 기준이 되는 물품.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원으로 끝나는 단어 (3,931개) : 평사원, 교열원, 평직원, 국회직 공무원, 이온원, 전투 근무 지원, 수반원, 사임원, 제조 자원, 유세원, 승문원, 녀원, 광양 옥룡사지 일원, 외부 전원, 일반 행정직 공무원, 녹색 종업원, 임직원, 룡약원, 두도 공원, 식물 자원, 총정원, 지방 공무원, 심의 위원, 홍로원, 재원, 청산 회원, 종교 관광 자원, 모의 선원, 앉은계원, 팔팔 공원 ...
원으로 끝나는 단어는 3,93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원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30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